본문 바로가기

개짓거리9

[개짓거리] 이거 이렇게 쓰라는 건가 0. 개짓거리의 발단NAI4가 정식 출시되고 간략하게 그 녀석의 효용에 대해 말한 바 있다. [개짓거리] 신이었는지 알 수 없는 녀석이지만 아무튼 죽었다0. 개짓거리의 발단NAI4가 정식으로 출시되었다고 해서 바로 써봤다. 이미 NAI로 짤 뽑아내는 건 이 블로그에서 세 차례 정도 다뤘다. [개짓거리] Novel AI는 정말 신일까0. 개짓거리의 발단1. 뭐 이리high-toucheels.tistory.com내 감상을 요약하면, 이거로 짤 뽑고 노는 사람들은 어떨지 몰라도 나는 매우 불만족이었다. 일단 럽라 공식 그림체(슼타체, 아니가사키체, 링크라체) 모두 어딘가 이질감이 늘었고, 공식처럼 그리지 못한다면 나에겐 있으나마나한 툴이니 그 효용이 0에 수렴한다 할 수 있겠다. 그래도 돈 낸 게 아까워서 이.. 2025. 3. 11.
[개짓거리] 신이었는지 알 수 없는 녀석이지만 아무튼 죽었다 0. 개짓거리의 발단NAI4가 정식으로 출시되었다고 해서 바로 써봤다. 이미 NAI로 짤 뽑아내는 건 이 블로그에서 세 차례 정도 다뤘다. [개짓거리] Novel AI는 정말 신일까0. 개짓거리의 발단1. 뭐 이리 복잡해발단이야 아무튼 그런 거고, 마침 하스 3rd 땜에 돈도 굳었겠다, 노벨AI를 구독해서 써보기로 했다. 근데 인터페이스가 드럽게 복잡하다. 뭐가 뭔지 하나도 모high-toucheels.tistory.com [개짓거리] 내가 그대의 소원을 들어주겠소0 . 개짓거리의 발단지난 수차례의 개짓거리들에서 이미지 생성 AI인 Novel AI가 악명에 비해 허접한 툴임을 알게 되고 관심을 끄고 살았는데, 갑자기 갤에서 이 녀석이 업뎃 되더니 캐릭터 둘을 동high-toucheels.tistory.c.. 2025. 3. 2.
[개짓거리] 2024년에 아카이브를 얼마나 봤을까 ※ 참고. 더보기 누르면 pandas 나옴 [개짓거리] 2024년 상반기에 아카이브를 몇 번이나 봤을까※ 술 마시고 작업함.0. 개짓거리의 발단1. 단순 통계먼저 요약행 기능을 통해 본 테이블의 합계 통계부터 내보겠다. 생략된 부분을 포함, 총 793개 무대를 1500회 시청했다.  이어서 곡은 총 몇high-toucheels.tistory.com1. 단순 집계이 개짓거리의 발단부터 이전 과정은 전부 6개월 전에 다뤘으니, 바로 통계부터 보겠다.기록표에 의한 단순 집계 결과는 위와 같다. 대충 하루에 9.91803278688525개 무대를 시청했다. 이제부터 이 데이터들에서 재미있는 통계들을 뽑아보자.2. 몇 회부터 재밌다고 생각한 무대일까일단, 통계에서 시청횟수가 1인 무대들은 처음 아카이브 볼 때 말.. 2024. 12. 31.
[개짓거리] 내가 그대의 소원을 들어주겠소 0 . 개짓거리의 발단지난 수차례의 개짓거리들에서 이미지 생성 AI인 Novel AI가 악명에 비해 허접한 툴임을 알게 되고 관심을 끄고 살았는데, 갑자기 갤에서 이 녀석이 업뎃 되더니 캐릭터 둘을 동시에 띄울 수 있게 됐음을 알려왔다. 아, 이건 못 참지. 바로 해본다. 내가 구독을 11월 26일에 했기 때문에 아직 구독 기간이 남아서 NAI를 쓸 수 있었다. 끝나기 전에 최대한 뽕 뽑고 끝낸다.Ⅰ. NAI = 라디오SS 발사대이미지 생성 AI가 발전한다면 꼭 하고 싶었던 일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SS에 삽화 넣기"다. 그러므로 이 녀석으로 어떻게든 SS에 참고로 쓸 일러스트를 만들 거다. 그리고 첫 빠따는 언제나 라디오SS다. 그룹 슦까에 진짜 라디오라는 느낌을 주려면 캐릭터들의 친밀한 모습이 찍힌 .. 2024. 12. 23.
[개짓거리] GPT와 NAI를 합치면 with Pixlr 0 . 개짓거리의 발단大 AI 시대가 도래한 이후, AI들을 덕질하는 데에 적용해서 SS도 써보고 썸네일도 만들고 온갖 개짓거리를 하고 있었는데, 생성형 AI의 대표격인 GPT와 NAI의 힘을 합치면 어디까지 해낼 수 있을지 궁금해서 해보기로 했다. 지난 NAI 체험 개짓거리에서 렌아이 대표 이미지로 제작한 이 물건, 편집툴만 쓸 줄 알지 그림을 ㅈ도 모르는 사람이 만진 거라서 난잡하기 그지 없다. 이걸 확실히 세련되고 그럴듯하게 바꿔보겠다. 당장 보이는 문제점은 크게 2개로, 렌과 아이의 배치, 자세, 구도가 모두 따로 논다뒷배경을 가공 없이 집어넣은 거라서 캐릭터와 배경이 따로 논다정도가 되겠다. 더 있겠지만 내가 디자인 알못이라 알 방법이 없다. 그래서 이걸 각잡고 그럴듯한 이미지로 만들어볼 거다... 2024. 11. 28.
[개짓거리] Novel AI는 정말 신일까 0. 개짓거리의 발단1. 뭐 이리 복잡해발단이야 아무튼 그런 거고, 마침 하스 3rd 땜에 돈도 굳었겠다, 노벨AI를 구독해서 써보기로 했다. 근데 인터페이스가 드럽게 복잡하다. 뭐가 뭔지 하나도 모르겠어서 열심히 구글링해서 대략적인 가이드를 안내받았고, 예시로 나와 있는 거 몇 개 집어넣고 하다보니 대충 감은 잡혔다.2. 자연어 처리가... 안 된다?앞서 GPT의 이미지 생성은 써봤다고 했는데, GPT의 이미지 생성 프롬프트는 자연어 처리가 가능하다. 자연어는 쉽게 말하면 일상언어로, 우리가 편하게 쓰는 어휘와 어구라고 보면 된다. 그 반대는 통제어로, 명령을 처리하는 DB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정한 어휘만을 가르킨다. 즉, 일종의 도구적 전문용어다. 그렇다보니 당연히 자연어 처리가 가능한 시스템이 .. 2024. 11. 26.
[개짓거리] GPT는 SS를 읽으면 어디까지 이해할까 0. 개짓거리의 발단1. SS를 연극대본이라 속이자일단 SS를 설명하기 귀찮으니, 형식이 비슷한 연극대본이라고 속였다. 일단 말은 알아듣는다. 곧바로 【그눈건배】 1편 앞부분을 입력했다.  아직 끝나지도 않았는데 나불거리길래 내가 OK 할 때까지 답변을 정해줬다. 이제 SS를 싹다 입력하자.  좋아, 다 읽혔다. 이제부터 너의 국어능력을 테스트하지 AI쎄이!2. 【그대 눈동자에 건배。】를 어디까지 이해했을까 물어본 게 인물과 이름인데 2기생 각자의 직업과 특징까지 언급한다. 예상했던 것보다 성실하다. 와중에 비타서머의 두 사람은 괄호 속 이름이 풀네임이다. 이유가 궁금하지만, 지금의 목적은 내용 이해니까 다른 질문으로 이어갔다.  답변 1과 2 모두 메이와 시키의 연애관계를 포착하고 설명하고 있다. SS.. 2024. 8. 19.
[개짓거리] 인생 갈아넣은 게임에서 나마쿠아 코디하기 ※ 이번에는 맨정신임. 게임 홍보 아님.0. 개짓거리의 발단1. 최종 컨텐츠 = 옷 입히기지금의 라테일은 쉽게 말하면, 200 전까지 필드 퀘스트 깨다가 200부터 인던 뺑뺑이 돌면서 235를 찍고, 이때부터 초월을 해서 초월레벨 9999를 찍는 게 목표인 정신나간 게임이다. 그딴 븅신겜 왜 하는지 나도 모르겠는데, 이 게임에서 9999 찍고 나면 적당히 템 맞추고 각성 레벨 올리면서 스킬 구경 좀 하다가 결국에는 캐릭터 옷 입히면서 엘리아스(게임 內 마을 이름. 설정상 수도라서 노가리 까는 사람 많음)에 모여 앉아 수다 떨고 춤추고 그런다.  그리고 액토즈소프트(라테일 회사. 넥슨, 네오플 같은 거)도 최종 컨텐츠가 코디인 걸 아는 덕에 신규 코스튬을 잘 내준다. 있을 거 웬만하면 다 있다.2. 씹덕이.. 2024. 7. 3.
[개짓거리] 2024년 상반기에 아카이브를 몇 번이나 봤을까 ※ 술 마시고 작업함.0. 개짓거리의 발단1. 단순 통계먼저 요약행 기능을 통해 본 테이블의 합계 통계부터 내보겠다. 생략된 부분을 포함, 총 793개 무대를 1500회 시청했다.  이어서 곡은 총 몇 곡인지 알아보자. 현 테이블에서는 위의 "희망적 프리즘(希望的プリズム)" 처럼 같은 곡이어도 공연-회차에 따라 다른 릴레이션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다른 테이블을 이용해 알아내야 한다.  우선, 본 테이블에서 곡명을 복사해 다른 표를 만들고, 곡명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같은 곡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 횟수 속성에 다음 함수를 입력한다. = SUM ( IF ( M3=표4[곡명], 표4[횟수], 0 ) ) 여기서 표4는 처음에 만들어둔 테이블(표)이며, M?의 위치는 새롭게 만든 표의 곡명 속성이다.. 2024. 7. 1.